프로젝트

프로젝트 준비 과정

시현한 하루 2022. 10. 1. 14:55
728x90

-이번 프로젝트에서 pm의 업무를 맡게 되어 더 자세히 뭘 해야할지 조사해봤다.

https://medium.com/@Chanhee/pm-%EC%9D%BC%ED%95%98%EB%A9%B4%EC%84%9C-%EB%A7%8E%EC%9D%B4-%EB%93%A4%EC%96%B4%EB%B3%B4%EA%B8%B4-%ED%96%88%EB%8A%94%EB%8D%B0-%EA%B7%B8%EA%B2%8C-%EB%AD%90%EC%95%BC-7bd6d43e5b48

 

PM, 일하면서 많이 들어보긴 했는데… 그게 뭐야?

발로 뛰어다니며 만난 현직자에게 들어본 PM의 실체!(주관적일 수도 있지만 PM을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들의 생생한 증언을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medium.com

-우선 전체적으로는 아이디어 내고 기획/시장조사/일정관리/발표 정도가 있을 것 같다

-프로젝트 선정은 팀원들이 어떤 언어를 사용하는지와 하고 싶은 기술 스택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본 후에 그에 어울리는 아이디어를 내고 선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1. pm의 역할
  • 고객의 문제를 파악하고
  •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로덕트를 구상합니다.
  • 그리고 그것을 비즈니스 목표와 연관 짓습니다.
  • 프로덕트 개발을 위해 팀을 설득하고, 이끌며
  • 프로덕트가 출시된 후에는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사업 기획과 마케팅 방향도 설정하고, 운영합니다.

2. pm의 역량

-문제해결

-커뮤니케이션

-일정 관리

 

현재에는 프로젝트이니까 기술 스택을 쌓으면서도 수요가 있는 아이템을 기획하고 싶다. 계획을 잡고 일정을 잡는데 부족한 부분이 있지만 그 부분은 깃허브를 통해 코드와 진행 사항을 공유하고, 블로그에 매주 회의 결과와 내가 한 부분들을 개인적으로 기록하는 식으로 보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분석능력(기획을 할 때 필요한 부분들 조사), 개발과 디자인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선정된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공부하고, 네트워크 구조와 같은 전체적인 틀을 공부해봐야겠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