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다한 공부
AI 생성 서비스 UX 분석 본문
AI 생성 서비스가 많이 생기는 요즘, 어떻게 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성능 또한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무엇일까요?
AI 시스템을 인간의 언어로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어구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사용자들이 원하는 것을 생성하기 위해 AI시스템에 요청하는 행위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Chat-GPT와 같은 텍스트 생성 AI 시스템은 프롬프트가 의미, 문맥 등을 파악하여 답변을 생성합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제공한다면 더 효과적인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효과적인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할 수 있을까요?
다음은 지시 사항에 맞춰 훈련된 대량의 텍스트, LLM에 효과적인 프롬프트를 작성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명확하고 구체적인 지시를 작성하기
-명확하고 확실하게 표현하세요. 실제로 아래와 같은 예시처럼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더 정확한 답변이 돌아옵니다.
-구분 기호와 구조화된 출력 방식을 요청해 정확하게 어떤 방식으로 출력해야 하는지를 정해주세요.
2. 단계를 나누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지시하세요.
-한번에 많은 것을 요구하면 정확한 결과가 나오기 힘듭니다. 순서를 나눠서 요구사항을 전달해보세요.
AI 서비스의 UX 제공
그렇다면, 어떻게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까요?
첫번째로 기존 전통적인 프로세스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사용자들은 기존의 방식에 익숙해져 있습니다. 그러니 기존의 서비스를 분석해 익숙한 경험을 제공해준다면 더 편리한 경험과 중요한 요소를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목적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기존에 멈춰있지 말고 새롭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핵심을 알고 이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유튜브 데이터를 활용해 이를 제공합니다. 유튜브 제목과 설명, 그리고 내용이 담겨있는 공개 데이터를 활용해 사용자가 어떤 검색을 했을 때 어떤 음악이 나오는지 학습시킵니다. 그리고 이를 활용해 사용자 본인만의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합니다.
작업곡에 대한 시장 수요가 있다는 점은 유튜브 조회수, 음악의 선호도 수치 자료를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기존 유튜브에서는, 기존의 플레이리스트만 사용하고 본인이 원하는 구성을 구성하지는 못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인만의 음악을 만들고, 맞춤형 음악을 생성해주고, 더 나아가 플레이리스트까지 생성해주는 서비스를 기획했습니다. 현재는 사진을 넣어 관련 음악을 생성하는 작업까지 완료되었으며, 올해 하반기에 서비스를 시범 운영해볼 예정입니다.
AI 서비스는 끊임없는 시장 분석과 빠른 업데이트가 필수인 것 같습니다.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좋은 사용자 경험을 남겨 재방문율을 높여야하기 때문에, 계속하여 이를 분석해볼 예정입니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 분석] 끊임 없이 성장하는 엔비디아와 산업 변화의 흐름 (0) | 2024.05.23 |
---|---|
AI 서비스의 로딩 페이지 (2) | 2024.05.16 |
생성형 AI 동향: 사진, 음악 생성 서비스 (3) | 2024.05.02 |
[기업분석] 현대 오토에버 (1) | 2024.02.25 |
신입 기획자 취업, 과연 가능할까? (3) | 202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