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다한 공부
[데이먼의 기획 강의]#00 제품 관리자 업무 구분(PO, PM, 기획자) 본문
기획에 대해 이론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기획 스터디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우선 기획이 무엇인지, 취업을 위한 기획 공부에는 어떤 준비를 해야하는지 알기 위해 2주동안 10시간정도의 강의인 "데이먼의 기획강의"를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HNbFSXc2nc
강의는 총 9가지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고, 해당 글은 0번 섹션 PM 직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룬 강의 정리 내용과 제 생각입니다.
01. it 관리자의 역할
I T관리자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출시 전과 후로 기준을 잡고 나눠볼 수 있습니다.
출시 전에는 pm,서비스 기획자가 있을 수 있고, 이 단계에서는 요구사항 분석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요구사항은 비즈니스 관계자인 CEO와 운영자 등에게 얻고, 설문지나 FGI를 통해 고객분석을 해 추출하게 됩니다. 설계 단계에서는 IA, 정책, 프로세스, wireframe(보통 해외에서는 디자이너가!)등이 존재하고, 이후 출시까지 일정관리와 QA까지 담당하게 됩니다.
출시 후에는 PO(Project Owner) 직군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보통 비즈니스 전문가이고 경영학을 전공한 분들이 맡게 됩니다. 로드맵, 백로그 등 애자일 프로세스를 이끌게 됩니다.
it 관리자가 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베이스를 갖춰야 합니다. 서비스 기획자는 프로젝트 설계, PO는 프로덕트 의사 결정, PM은 테크, 비즈니스, UX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사람이 맡게 됩니다.
02. 기획자가 필요한 조직, 필요 없는 조직
그렇다면 어떤 조직에서 기획자가 필요할까요?
전략, 서비스, 프로모션 등등.. 많은 종류의 기획자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분석, 제품 설계 담당하는 사람인 서비스 기획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우리는 고객이 가진 문제와 해결책을 분명하게 이해하고 있고, 결과에 대한 확신까지 가지고 있는가?
이미 답이 정해져 있다면, 워터폴 방식을 채택하여 기획자는 제품 설계와 기능 정의, 커뮤니케이션 등의 업무를 맡게 됩니다. 그리고 답이 정해져 있지 않다면, 애자일 프로세스를 채택해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팀 매니지먼트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 때, 애자일 방식은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기획자가 한 팀으로 결속력 있게 리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제 현업에서는 운영자와 개발자, 디자이너가 커뮤니케이션이 안되거나, 실무적 제품 설계를 해주는게 도움이 될 때 기획자가 필요합니다. 기획자는 전체적으로 각자의 역할을 이해하고, 정리해 설계해주는 직무를 수행합니다.
03. B2C&B2B 프로덕트 기획
비즈니스 기획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개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B2C, 기업에게 제공하는 B2B는 각각의 프로덕트의 차이를 알고, 제품 특성에 맞게 기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각각의 개념과 특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B2C
- 일반 개인이 사용하는 프로덕트
- PM이 직접 사용하는 제품 기획
- 시장이 커서 고객 NEEDS 충족하면 J커브 성장 기대
- B2B
- 비지니스 목적, 사업자가 사용하는 프로덕트
- PM이 직접 사용하지 않는 제품 기획
- J커브 성장은 어렵지만, 유료화 용이→꾸준한 성장 가능
04. 프로젝트 매니저& 프로덕트 매니저
- 프로젝트 매니저
- 시작과 끝이 있는 프로젝트 맡음
- 프로덕트 매니저
- 제품(지속적인 개선)
각각은 위와 같은 차이가 있지만, 제품도 결국에 처음에는 만들어져야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매니저가 필요하다. 그래서 둘 다 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합니다.
05.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뽑은 내 인생 최고의 Product Manager
PM은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역량에 해당할 만큼 많은 사람들과 교류하며 협업합니다. 그렇다면 팀원들이 말하는 최고의 PM은 누구일까요? 설문을 통한 결과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 최고의 프로덕트 매니저의 자질은?
- 컨텍스트/ 데이터/ 리서치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 팀의 멤버들과 동등하게 행동
- 뛰어난 pm은 개발자와 논쟁할 준비가 되어있습니다.
- 마감일보다는 해결책에 초점
- 디자인과 테크 이해, 모든 측면에 참여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가이드
- 해결책보다는 문제를 찾아내고 소통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쓴다.
- pm은 문제정의가 중요. 문제를 찾아내면 해결책은 나온다. 그래서 문제 정의를 하기 위해 노력하고, 찾는다.
최고의 PM 설문 결과 트윗 링크
트위터에서 즐기는 John Cutler
“design and developers weigh in on the "best" product manager they've worked with...”
twitter.com
설문 결과 정리된 브런치 글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말하는 최고의 PM
Best product manager they've worked with | John Cutler의 트위터 설문조사를 참고하였습니다. 협업능력 -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업무 방식을 존중하고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는다. - 개발자와 디자이너
brunch.co.kr
06. ‘잘하는 기획자’의 기준은 무엇인가?
5번의 설문 내용과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잘하는 기획자'는 누구일까요? 기획을 잘한다는 것은 넓게 트인 시야로 구체화, 정리의 신, 체계적인 위계정리, 일정 관리의 신 등 다양한 기준이 있습니다. 그만큼 잘한다는 판단 기준도 개인마다 차이가 있겠죠. 결국 사람과 함께 협업 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료들하고 손발이 잘 맞나?'가 큰 판단 기준이 됩니다. 만약 자신이 기획자로써 역량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면, 다양한 조직에 참여하며 어떤 조직과 잘 맞는 기획자인지 판단해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자신이 일정 관리에 특화되어 있는지, 정리를 잘하는지 특화된 능력이 있을테니까요.
다양한 팀을 경험하며, 실제로 내가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도 있었고, '이 팀은 내가 없어도 잘 돌아가겠는데?' 라는 생각이 들었던 팀도 있었습니다. 돌이켜 보면, 팀 문화와 해결하려는 문제의 방식에 대한 영향이 컸던 것 같습니다. 어느 부분, 어떤 사람과 잘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잘 맞는 사람을 주변에 두고 나한테 맞는 옷을 입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참고 자료
'잘하는 기획자'의 기준은 무엇인가
협업자와 얼마나 잘 맞는가의 차이 | 얼마 전 친한 동료로부터 함께 일하는 개발자로부터 자신이 지금까지 함께 겪은 기획자 중 잘하는 몇 안 되는 기획자라는 소리를 들었다고 했다. 처음 든 생
brunch.co.kr
07. PM, 기획자가 되려면 어떤 전공을 해야할까요?
지원회사 맞춤 과제를 하면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글쓰기는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설득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글 쓰는 것만 봐도 기획을 잘할지 보인다고 하네요. 글을 써내려가고, 독자들을 설득하는 과정에서 많은 것을 얻어갈 수 있어서 글쓰기는 중요합니다.
저도 꾸준히 글을 써보려고 2주 전부터 일주일 최소 1포스팅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글쓰기가 많이 늘었으면 좋겠네요!
보통 경영, it쪽 전공에서 서비스 기획자로 많이 취업을 한다, 이후에 PM으로 오게 됩니다. 한 팀에 기획자보다 개발자, 디자이너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취업 시장이 그렇게 활발하지는 않습니다.
SQL등의 데이터 분석 능력을 키우면 설득할 수 있는 지표를 얻을 수 있어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좋아집니다.

마무리
생각보다 블로그로 글을 정리해서 옮기려면 많은 시간이 드네요! 그래도 블로그 챌린지 하면서 다른 분들 글에 자극 받고 열심히 정리해봤습니다! 남은 8섹션도 무사히 정리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이번에 PM과 기획자가 무엇인지에 대해 다시 정리해 볼 수 있었는데, 볼 때마다 나는 좋은 기획자인가 많이 반성하게 됩니다. 크고 작은 프로젝트를 하면서 기획자로 다양한 개발자, 디자이너와 협업을 했었는데, 더 이해하고 정확한 일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먼의 기획강의] #03 기획자 인사이트 (0) | 2023.07.04 |
---|---|
[데이먼의 기획 강의] #02 그로스해킹 뽀개기 (0) | 2023.06.25 |
[데이먼의 기획 강의]#01 제품관리 (0) | 2023.06.05 |
앱 기획 2)어피니티 다이어그램 (2) | 2022.12.04 |
앱 기획 1)자료조사-설문과 인터뷰 (0) | 2022.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