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다한 공부

앱 기획 1)자료조사-설문과 인터뷰 본문

기획

앱 기획 1)자료조사-설문과 인터뷰

시현한 하루 2022. 11. 18. 11:03
728x90

-자료 조사는 설문과 인터뷰, 의견을 모아서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으로 정리하는 형식으로 인사이트를 도출했다.

설문에서 성실한 응답을 한 사람들을 바탕으로 인터뷰를 받고, 그 인터뷰 의견을 추가하여 앱 기능의 중요도를 설정했다.

-수면 관리 앱에 대해 기획하면서 시행한 다양한 자료 조사, 사용자 설문과 인터뷰에 관한 내용이다.

 

설문)

원하는 대상(20대 대학생)을 바탕으로 설문을 홍보했다. 동아리 단톡, 인스타 스토리 등으로 홍보했으며 총 98명이 설문에 참여했다. 

 

아래는 설문 질문이 담긴 링크이다.

https://forms.gle/R96T4xC77PAA7wz88

 

수면관리 어플리케이션 설문

안녕하세요! 전남대학교 개발동아리 에코노베이션에서 진행중인 앱 프로젝트 팀입니다. 규칙적인 수면과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수면 관리 앱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설문을 통해 다양한 의

docs.google.com

 

 

설문을 수면을 부족하다는 사람이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많은 사람들이 가진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가진 앱을 기획하고자 했다. 이 부분은 원래 생각했던 기능을 증명하기도 했지만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기능을 부각시키는 역할도 했다.

 

이후 동아리 사람들을 대상으로 우리 앱의 다양한 기능 중에 무엇을 가장 많이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조사를 했는데, 이 역시도 예상과는 다른 결과가 나와서 설문이나 기능에 대한 투표로 사용자의 의견을 듣는 것을 추천한다.

 

아래는 참고한 글.

https://deep-wide-studio.tistory.com/29

 

Design Project #1 서비스디자인 미니 프로젝트 1주차 이야기, 주제를 정하다!

이것만으로는 안되겠어지난 주, 딱 일주일 전 6월 12일, 서비스 디자인 교과서 챕터2를 읽으면서 다짐을 남겼었다.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에 관한 책을 읽는 것만으로는 의미가 적다고 판단하고,

deep-wide-studio.tistory.com


인터뷰)

설문에서 성실하게 응답한 사람들을 선정해 총 3명에게 인터뷰를 받았다.

 

인터뷰 질문은 이전의 앱 사용에 대한 경험, 페인포인트(불편한 점),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택한 방안(경쟁사)에 대한 의견을 위주로 들었다. '사용자 경험'을 중시해서 들어야하는 이유는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이 어떤 행동을 할 것이라고 예측을 하며 살아가지만, 실제 상황이 다가왔을 때 예상과 다른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처음 보는 사람을 인터뷰할 때는 이러한 예상들이 실제 행동과 연결될지에 대해 더 알 수 없기 때문에 실제 상황에서 어떤 대안을 찾고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는지를 들어보는 것이 중요하다.

 

 비슷한 맥락이지만 "우리 앱이 출시되면 사용할 것인가요?"와 같은 유도 질문은 의미 없는 질문이다. 유도 질문보다는 정확한 수치를 제시해 어떤 기능을 더 중요시 여기는지에 대한 의견을 들어 그 부분을 부각하는 것이 사용자를 확보하는데 더 확실한 방법일 것이다.

 

아래는 우리 인터뷰 질문 일부이다.

 

-이전에 무슨 수면 관리 앱을 사용하였는가

경쟁 앱이 무엇인지를 알아봄과 동시에 어떤 점 때문에 사용자가 이 앱을 사용하였는가를 듣고 이를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 때 인터뷰이가 원하는만큼 자세하게 대답을 하지 않는다면, "왜?"라는 질문을 하여 원하는 답을 얻을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어떤 점이 불편하였는가?(페인포인트 찾기)

 우리가 기획할 앱은 사용자들이 불편해하는 포인트를 찾아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앱이어야 한다. 페인포인트란 이런 불편을 느끼는 지점을 뜻하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러한 의견을 듣는다.

 고객들이 돈을 지불하고서라도 해결하고 싶은 페인포인트를 찾는다면 비지니스적으로도 탄탄한 앱을 기획할 수 있다.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대안을 찾았는가?

 사용자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불편함을 해소했는지를 알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앱의 기획도 보충한다. 경쟁사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유저 인터뷰를 하기 위해 다양한 블로그 글을 찾아보던 중 정확한 수치를 통해 기능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방법을 찾았다**

-앱의 기능을 적어두고, 일정한 예산(ex>10000원?)이 있다면 각각의 기능에 얼마를 투자할건가?

 이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중요하게 여기는 기능의 중요도를 수치로 정확하게 알아볼 수 있다.

정리

설문과 인터뷰는 사용자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좋은 방법이다.

설문 대상 설정을 잘하자.

인터뷰에서는 유도 질문 피하고, 경험과 정량적인 질문을 통해 객관적으로 의견을 받자.

--이 모든 과정을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원래의 기획을 강화 또는 축약, 새로운 아이디어를 추가하는 과정을 거치며 기획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728x90